
LaTeX에서 논문을 쓰다 보면 Table을 사용해야 할 때가 많다. 이번 글에서는 Table을 쓸 때,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기본 사용법 표 생성하기 LaTex에서 Table은 기본적으로 Tabular를 통해서 만들어진다. 아래의 코드를 보자. \begin{tabular}{|c|l|r|} \hline Header 1 & Header 2 & Header 3 \\ % 열 제목 \hline Row 1, Col 1 & Row 1, Col 2 & Row 1, Col 3 \\ % 첫 번째 데이터 행 Row 2, Col 1 & Row 2, Col 2 & Row 2, Col 3 \\ % 두 번째 데이터 행 \cline{1-2} \end{tabular} LaTex에서는 표를 만들 ..

LaTeX로 쓸 때, 짧은 논문의 경우에는 구조화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글이 길어지게 되면, 어떤 곳에 어떤 글이 있는지 확인하고 수정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래서 이번에는 논문을 처음 쓸 때,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고 Reference를 구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1. 본문 구조화하기 IEEE Template의 기본틀은 제목, 저자, 헤더, Abstract, 키워드, 본문, Appendix, Reference로 구성된다. 제목, 저자, 헤더 부분은 잘 구성이 되어 있고, 초반에 넣으면 되는 곳이기 때문에 굳이 바꾸지 않아도 괜찮다. 그러나 본문은 길이가 길어질 수 있고, Appendix 또한 길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따로 분리하는 것은 고려할만 하다. 아무 것도 바꾸지 않은 상..

LaTeX는 프로그래밍과 비슷하기 때문에 많은 Package를 사용할 수 있다. IEEE의 기본 틀에서도 이러한 Package에 대해서 어떤 Package를 사용하면 좋은지를 제시하고 있지만 주석이 많아서 정상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번 글에서는 IEEE에서 어떤 Package를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하고자 한다. 1. Package 사용법 모든 Package는 \usepackage[옵션]{Package_이름} 형태로 사용한다. 옵션 부분은 없어도 괜찮으며, 그럴 경우에는 \usepackage{Package_이름} 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Package의 위치는 항상 글의 시작 부분 전에 위치해야 한다. 글의 시작은 \begin{document} 로 나타난다. \docum..
- Total
- Today
- Yesterday
- 회로
- 적정가치
- 갤럭시
- 사경인
- 장르소설
- 레이크머티리얼즈
- AMD
- IEEE
- 카카오페이지
- 갤럭시북이온
- 리뷰
- 포트삭제
- 3500u
- 논문쓰기
- hspice
- vivado
- verilog
- 시뮬레이션
- 투자
- 재무제표모르면주식투자절대로하지마라
- 노트북
- 프린터
- 블루투스5.0
- MicroLED
- XBOOMGO
- s-rim
- 음향기기
- latex
- 와디즈
- Overleaf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